언론이 본 신대승

언론이 본 신대승

[[한국NGO신문] 시민사회 “우리는 학대받고 탄압받는 로힝야 곁에 있겠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09-20 18:00 조회1,494회 댓글0건

본문

 

시민사회 “우리는 학대받고 탄압받는 로힝야 곁에 있겠다”
로힝야 학살 1주기 미얀마 정부 규탄 기자회견

[한국NGO신문] 은동기 기자 = 다산인권센터, 민변, 참여연대, 팔레스타인평화연대 등 로힝야와 연대하는 32개 인권, 평화, 노동단체들은 로힝야 학살 1주기를 맞아 8월 24일 오전 11시에 주한 미얀마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로힝야를 탄압하고 있는 미얀마 정부를 규탄하고, 한국 시민사회의 우려와 요구를 담은 성명서를 주한 미얀마대사관에 전달했다.

2018082641029810.jpg

▲  다산인권센터, 민변, 참여연대, 팔레스타인평화연대 등 32개 인권, 평화, 노동단체들은 8월 24일 오전 11시에 주한 미얀마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로힝야를 탄압하고 있는 미얀마 정부를 규탄했다.   ©조진섭  작가  제공

 

지난해 8월 25일, 약 25,000명의 로힝야 민간인들이 미얀마 군부에 의한 무차별적인 집단살해, 강간, 방화 등으로 희생되었다. 또한 80만 명에 육박하는 로힝야 난민들은 여전히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인접국인 방글라데시 난민촌에서 생활하고 있다. UN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이를 반인도적 범죄, 전형적인 인종청소(Genocide)라고 규정하고 있지만 미얀마 정부는 여전히 그 책임을 부인하고 있다.  
한편, 로힝야 학살 1주기를 맞아 이를 추모하고 기억하는 행사 “Rohingya Genocide Remembrance Day”가 독일, 캐나다, 아일랜드 등 전 세계 각국에서 진행되었다. 국내에서도 8월 24일 오후 6시, 서울시NPO지원센터 품다홀에서 로힝야 학살 1주기 추모행사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 개최되었다. 
단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미얀마 정부가 오랫동안 로힝야 사람들에 대한 집단적인 폭력과 추방 그리고 법·제도적 차별을 광범위하고 체계적으로 지속해온 사실을 다시 환기한다면서 “로힝야는 법이 토착 민족으로 인정하는 기준인 1823년보다 훨씬 이전부터 아라칸 지역에 살아온 미얀마의 사회구성원임에도 1982년부터 시민권을 사실상 박탈당하고 무국적자로 내몰렸으며, 이동의 자유는 물론 종교의 자유도 제약되어 왔고, 자녀 출산도 2명으로 제한되어 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얀마 군부가 조직적으로 저지른 작년의 학살은 전 세계를 경악하게 했으며, 이러한 사태가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아웅산 수치 정권에서 발생했다는 점은 한국 시민사회에도 커다란 충격이었다면서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이를 반인도적 범죄 또는 전형적인 인종청소라고 규정했으며, 이양희 유엔 미얀마인권특별보고관은 집단학살의 특징들이 있다고 발표했고, 국제형사재판소가 개입을 검토할 정도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학살에서 살아 남은 생존자들의 증언과 드러난 증거들은 이 끔찍한 비극의 책임이 미얀마 정부에 있음을 증명하고 있으나 미얀마 정부는 여전히 그 책임을 부인하고 있다면서  아무리 미얀마 정부가 학살이 로힝야 무장세력 때문이라고 주장하더라도, 수많은 학살 생존자들의 증언을 지울 수는 없으며, 이양희 유엔 미얀마인권특별보고관의 활동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독립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조사를 미얀마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는 한, 그들의 어떤 주장도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단체들은 또 “로힝야 사람들은 고향으로 돌아갈 권리가 있다”면서 “한국 시민사회는 이들의 자발적이고 안전하며 존엄성이 보장된 귀환을 보장할 것을 미얀마 정부에 촉구하며, 어떤 정부도 이러한 권리를 부정하거나, 그 권리를 포기할 것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 로힝야의 국적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합의 여부와도 상관없이, 국제인권규범은 이들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귀환 과정에서도 온전히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단체들은 지금 한국 사회에 표출되고 있는 난민과 무슬림에 대한 혐오에 우려를 표하고, 로힝야 학살 소식에 달렸던 끔찍한 혐오 댓글들은 이제 예멘 난민들과 무슬림 이주민들에게로 대상만 바뀌었을 뿐“이라고 규탄했다. 
단체들은 “한국 시민사회는 미얀마 정부의 로힝야 학살과 이에 대한 부정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학살에 대한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피해자 구제,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을 국제사회와 함께 해나갈 것을 약속하며 로힝야 사람들의 고통에 지속적으로 연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단체들은 미얀마 정부에 대해 ▲독립적이고 철저한 조사를 통한 진실 규명과 책임자 처벌,  학살 발생지역에 대한 국제언론과 인권단체들의 제약 없는 출입 허용 ▲로힝야의 토착 민족 인정과 시민권 부여 ▲로힝야 난민들의 자발적이고 안전하며 존엄한 귀환과 송환 논의에 로힝야의 적극적 참여 보장 ▲로힝야 피해자에 대한 구제 방안 마련 및 재발 방지 약속을 촉구했다, 
또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대해서도 로힝야 학살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할 것과, 한국정부를 포함한 국제사회를 향해 로힝야 난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확대하고, 로힝야 문제의 지속가능한 해결을 위한 노력에 적극 협력할 것 등을 요구했다. 


<기자회견 참가단체>
거창평화인권예술제위원회, 공익법센터 어필,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광주인권지기 활짝, 구속노동자후원회, 국제민주연대, 난민인권센터, 다산인권센터,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민변 국제연대위원회, 사회변혁노동자당, 생명평화아시아, 성적소수문화인권연대 연분홍치마, 신대승네트워크, 실천불교전국승가회, 아시아인권평화디딤돌 아디(ADI), 에이팟코리아(A-PAD Korea), 이주민센터 친구, 인권운동공간 활, 인권운동사랑방, 인천인권영화제, 작은형제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북평화와인권연대, 제주다크투어, 제주평화인권연구소 왓, 진실의 힘, 참여연대, 천주교인권위원회, 팔레스타인평화연대,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해외주민운동연대(KOCO)  <총 32개 단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